본문 바로가기

물리적 메모리free영역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Swap영역을 Attach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물리적 메모리free영역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Swap영역을 Attach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ree 메모리가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이 어느정도의 스왑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다. 커널은 근미래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메모리 페이지(사용자 프로세스이던 커널 캐쉬이던간에 상관없음)를 스왑아웃하지 않고 메모리상에 계속 보관해두어 퍼포먼스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아주 적은 빈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페이지는 가용메모리 공간 낭비를 피하기 위해 스왑아웃 시킨다. (예: X11 getty, 기타 inactive한 데몬 관련...) 이와 관련해서 커널의 스와핑 활용 경향을 변경/셋팅할 수 있다. /proc/sys/vm/swappiness 값을 셋팅하면 되는데 기본값은 60이다. 0으로 셋팅.. 더보기
kernel: mtrr: type mismatch for e0000000,4000000 old: uncachable new: write-combining 지난회사를 퇴사한지 어언 반년이 지났건만 아직도 연계되어서 오는 연락들....쩝....뭐 개인적으로야 기분이 썩 나쁘지않다만서도 아직도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 향수를 느끼는걸 보면 뭐랄까? 뭐라 설명해야하지 ㅎ 아무튼 한두건정도 연달아 문의한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하려한다. 환경RedHat Enterprise Linux 5 문제/var/log/messages 에러메시지중, 간헐적으로 kernel: mtrr: type mismatch for e0000000,4000000 old: uncachable new: write-combining 메시지가 남겨지는 이유? 근본원인먼저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전, MTRRs(Memory Type Range Registers)에 대해 알아야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MTRR을 .. 더보기
pNFS(Parallel NFS) 2~3년전에, pNFS(Parallel NFS)에 대해서 언급된 기사를 본적이 있었다. 그때 대충 기억하기로는 NFS이 가진 즉 Networking환경에서의 사용되어지는 NFS한계 및 개선사항, 앞으로의 동향 등이 내용의 주를 이뤘고, 마침 흘러나온 용어가 pNFS였다. pNFS를 애기하자면, NFS Version4를 애기를 안할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NFS version 4 에 minor 버전을 업그레이드 한것이 pNFS이기 때문이다. 아시다피시, 레드햇공식문서 - 6.4릴리즈를 통해 이미 pNFS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확인할수 있다. https://access.redhat.com/site/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6/html/Storage_Ad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