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HEL7 - NetworkManager CLI(1) nmcli 자신의 PC를 fedora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NetworkManager GUI을 이용하여, 때때로 프로파일 등록 및 변경을 하시는 경우가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럴 경우, 피씨가 아닌 서버환경에서도 GUI로 확인 및 설정/변경이 어렵지 않다고 구현하실수 있겠죠. 다만, RHEL7버전의 몇몇 툴의 경우, GUI환경에 특화?(NetworkManager, PCP(Performance Co-pilot), firewalld 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접속환경이 터미널을 이용한 확인/설정이 필요한 경우, 난감한 상황이 따를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많이들 아시는 NetworkManager CLI(nmcli)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부분들을 어느정도 해소하실수 있겠습니다. http:/.. 더보기
레드햇, Docker와 손잡다. 간만에 블로그에 손대는거같다....사실 이래저래 귀찮아서 카페나 블로그에 접속조차 하지 않는 일이 많은데.......ㅠㅠ 어쨌거나 저번주에서 RedHat에서 주관하여 매년마다 열리는 포럼이 올해도 어김없이 열렸다. 시기상 다른점은 작년에는 추운11월로 기억하는데....다행히다.ㅠ 감기에 추위에 몹시 고생했던 아픈 추억이....얼굴폐인모드;;; 본론으로 가기전에 여러 세미나행사나 고객에게 많이 들리고 이슈화가 되고 있는 PaaS(Platform as a Services) - Docker에 대해 그동안 과거 포스팅되었던 기사와 문서를 토대로 써보고자 한다. 대다수의 사용자나 특정 솔루션을 요구하는 고객은 항상 이렇게 결론은 단정짓는다. 그래서 그게 뭐가 좋은데?!근데 그건 잘못된 질문이거나 옳바르지 않은 관.. 더보기
Write Barrier란 무엇인가? Write Barrier란 무엇인가? Write Barrier는 파일시스템의 메타데이터가 올바르게 기록되고 디스크에 제대로(심지어 디스크 전원이 나갈지라도) 반영되게 하기위한 커널 매커니즘이다. 이 매커니즘은 전원에 문제가 생겨도 fsync()를 통해서 전송된 데이터가 올바르게 지속되록 해주지만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성능 저하를 가져오는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fsync() 시스템콜을 많이 사용하거나 작은 파일의 생성과 삭제를 빈번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성능적인 저하를 많이 일으키게 된다. 앞서 언급했던 파일시스템과 관련된 부분을 다시 짚어보자. 현재 대부분의 디스크 장치는 내부적으로 캐시를 가지고 있으며 RAID 컨트롤러에도 캐시가 존재한다. 이러한 Write Cache가 존재하는 저장장치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