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line I/O Schduler? 날씨가 부쩍 추워졌다.왠만하면 추워도 파카를 안입는 체질인데 아침부터 파카를 껴입었다.아직 12월도 아닌데....제귈..조만간 털모자도 꺼내야겠다. 회사다니는데 있어 복장이 크게 중요치 않다고 느끼는 나인데. 요즘 복장이 너무나도 free해졌다...헤헤....뭐 어쩔수 없다;; 아무튼 서론이 길었고 오늘은 무얼 가지고 놀까 아니...무얼 포스팅할까 고민하던중, I/O Schduler라는 놈이 땡겼다. 갑자기 왜? 이젠 소재도 고갈되어지나....쩝;; 아무튼 먼저 I/O Scheduler중 deadline이라는 놈을 알기전에 I/O Scheduler라는 녀석을 알필요가 있다.간단하게 말하자면, I/O 스케줄러는 디스크 I/O 를 효율화하기 위한 하나의 기능인데, Kernel 2.6.10에서는 deadlin.. 더보기 Virtual Memory가상메모리란? 요즘 이런저런 생각이 든다. 과연 내가 하고 싶은 일(Role)이 무엇일까?레드햇이 좋아 이 바닥에 뛰어들었지만 과연 내가 리눅스를 좋아하는 걸까. 솔루션이 좋은걸까... 사실 기존에 S** 상주업무 PM업무를 하기전에는 레드햇솔루션이 좋았다. 클러스터링, 가상화, 배포 등등 묘미를 자극하는 요소가 많았지만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위 솔루션의 경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소프트어플라이언스 형태의 요소만 알고 있을뿐,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라고 보는게 내 시각이다.그러던중 리눅스운영을 맡았고 그 시점에 성능분석, 장애조치, 알고리즘, 아키텍쳐 등등 리눅스자체만으로도 무궁무진한 캐미가 있다는 걸 조금씩 알아갔고, 이 또한 내가 하고 싶은 분야가 되어버리기도 했다. 여기서 작성한 내용은 시스템운영을 하다가 성능이슈 .. 더보기 RHEV에서, SPM이란 무엇인가? vmware,citrix 등 가상화환경에서 하이퍼바이저(호스트)를 관리하는 매니저 즉 관리서버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REDHAT가상화제품인 RHEV(RedHat Enterprise Virtualization)또한 RHEV-M라는 것이라 존재한다.여기서는그중 SPM이라는 것에 대해 간략하게 말하고자 한다. SPM(Storage Pool Manager)는 datacenter내에 있는 스토리지의 metadata를 변경 하는 것을 감시한다. SPM는 RHEV-M를 통해 지정 하여 data center 내에 있는 호스트 사이에서 마이그레이션 할수 있다. 그러므로 호스트가 data center 내에 있는 모든 호스트와 연결 되어야 active 상태로 될수 있다. RHEV-M는 SPM가 정상적으로 운영 하고 있는지를..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