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이하. RHEL)버전별 넘버에 대한 내용 너무나도 기본적인 부분이지만 다시 한번 짚어가는 의미로 커널버전 넘버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아시다시피 uname -a을 통한 현 커널버전의 상태는 아래와 같이 확인할것이다. [root@server1 ~]# uname -aLinux server1.example.com 2.6.18-274.el5 #1 SMP Fri Jul 8 17:36:59 EDT 2011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위 내용을 보시다시피,커널 버전은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숫자)를A.B.C 로 구성되었다고 할때 앞에 있는 A.B 는 커널의 버전을 나타 낸다. 나머지 C 는 마이너 버전을 가리킨다. 위를 참고삼아 내용을 지정하자면,A(2) : 커널 버전을 가리킨다.B(6) : 해당 커널 버전의 m.. 더보기 Clustered Samba?CTDB?그게 뭘까... 벌써 10월 한달도 가고 겨울 문턱인 11월이다. 오늘 간만에 이것저것 보다가, 이전 기술지원 고객중 AIX GPFS제품을 이용한 ctdb서비스를 이용했던, 사이트/사례가 생각이 났다.아는 사람만 알겠지만, Redhat에서도 RHEL6.2이상부터, Clustered Samba을 Fully Support지원한다.(RHEL5.X +되나 어디까지나, tech preview로 분류됨) RHEL 4: There is no support for CTDB.RHEL 5: CTDB is a Technology Preview only.RHEL 6: CTDB is supported on RHEL 6.2 and greater with a maximum of 4 active nodes. 먼저 CTDB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 더보기 RHEL Clustering(RHCS) Heartbeat이란? 아래글은 RHCS CLUstering(RHCS)에서의 Heartbeat Networking의 개념에 대해서 하나씩 나열해보며,몇몇 failure senario 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통해 클러스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본다. * Failure of Network ConnectionSwitch loss, cable disconnected 와 같은 이유로 VIP resource 로 사용되는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클러스터는 해당 장애를 감지하고 클러스터 서비스를 standby node로 failover 한다. 장애 감지와 failover process 는 완료되는데 30초 미만의 시간이 소요 된다.Passive 노드에서의 네트워크 장애는 클러스터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해당 노드..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