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SI Addressing에 대한 이해 그간 바쁘다고 포스팅을 게을리했더니....정말이지 머릿속이 백지장이 된듯하네요...;;쩝아무튼 오늘은 간만이지 필받은(?)하루여서 이렇게 늦은시간에 포스팅을 하게되었습니다. 그럼 오늘도 역시나 반말(ㅜㅜ)로 포스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__) SCSI Address란 무엇인가?정말이지 어렵다. 왜 어렵냐하면, 미들웨어급에서 하이엔드급으로 오게되면 많은 스토리지벤더사의 스토리지를 만지게 되며, 그와 동시에 XB,TB 등과 같은 대용량의 파일시스템을 만지게 되는일이 빈번하게 생기기 떄문이다.이럴때 정확한 개념이 잡혀 있어야 나에게 주어진(?) 볼륨들을 컨트롤 할수 있고 Formatting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할수 있게 만들수 있다. 물론 트러블슈팅이 생겼을 경우, 어느 정도의 정보를 통해 디버깅을 할수.. 더보기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32-bit and 64-bit? 오랜만에 이전에 알고 지내던 엔지니어와 통화하던중 갑작스럽게 32bit와 64bit의 차이점 및 개념을 아냐는 쓰잘기 없는 질문을 했다...개념자체가 없어보였다 하지만 난 단순히 bit개념이 아닌 좀 더 세밀한 답변을 원했던 그 친구에게 별로 대답해준게 없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CPU(AMD64 or Intel EM64T)는 알고 있을꺼다. 위에서 나열한 거외에 Itanium(64bit) and Power PC(64bit)도 다른 구조를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AMD64/Intel64 architecture명시하도록 하겠다. 그럼 우리가 쓰고 있는 CPU가 64bit라는건 어떻게 확인할것인가? 그것은 flag내용만 보면 CPU의 지원범위를 알수 있다. [dhkim@linuxdata ~]$ g.. 더보기
왜 2Node RHCS환경에서 때때로 Split-brain이 생기는 걸까?! RHCS는 Redhat Enterprize Linux내의 포함되어 있는 add-one패키지이다.HA을 제공하는 하나의 솔루션이자, 패키지라 말할수 있다. 보통 RHCS을 적용하기위해 가장많이 소비자가 요구하는 환경은 다른 베리타스제품이나 성격은 다르지만 mysql cluster나 rac와 같은 2노드환경에서의 HA이다.HA....말그대로 서비스의 fail-over을 말한다. 크게 보면 시스템 및 OS 그리고 서비스 크게 분류할수도 있다. 그렇다면 2node환경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장애요인을 꼽으라면 무엇이 있겠는가?!그건 Split-Brain이라 말할수 있다. 그런데 왜 생기는 걸까? 내가 직접 구축하고 사례를 판단했을때 정말 너무나도 많았다.그걸 세부하게 나누라면 정말 머리가 꽤 아플꺼라 생각된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