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WorkSpace에 대한 아키텍처 이해(A-Z 까지 따라잡기) 2019년도 글로벌 IT시장의 판도를 바꿀만한 팬더믹(COVID-19)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주로 원격지에서 근무할 때 또는 특정 용도(망분리 등)로만 사용하던 원격 데스크탑 서비스가 근무 환경을 변화시키고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이야기해도 이상하지 않게 되었습니다.제가 근무하고 있는 K통신사에서도 2년전쯤 VDI를 전면 검토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AWS Workspace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최근에는 국내 항공 그룹사에 VDI도입 사업에 제안을 하게 되면서 정리한 내용과 구성 아키텍처 등 구현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면서 AWS Workspace가 무엇이고 구성하기 위한 절차 등에 대해 하나씩 알아가보도록 합니다. 1. 개요Amazon WorkSpaces는 클라우드 기반의 관리형 가상 .. 더보기 AWS Control Tower 기반 Landing Zone 구축 사례 기업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AWS 뿐만 아니라, 다수 Azure, Google Cloud, 알리바바 등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들도 제공하는 것이 Outer Architecture 중심으로 Landing Zone 이라 일컽어 말하기도 합니다. 흔히 많은 분들과 대화하다보면 랜딩존은 네이티브 기술이나 특정 영역에 국한된 업무 로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구현한 이후에는 자신들의 이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것들을 얻을 수 있는지 해답을 물어보는 경우가 다수 있습니다. 아래 글은 비교적 최근에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 수행했었던 AWS Control Tower 랜딩존 구축 프로젝트 사례를 기반으로 작성된 내용과 함께 이해.. 더보기 AWS CodePipeline를 이용한 사내 CI/CD 환경 구현 사례 AWS CodePipeline은 코드 변경 → 빌드 → 테스트 →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여 소프트웨어 배포 속도를 높이고, 품질을 유지하며, 운영 부담을 줄이는 AWS의 CI/CD 핵심 네이티브 서비스입니다.CodePipeline의 역할은 코드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빌드와 배포를 수행하는 것으로 AWS에서는 여러 서비스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odePipeline의 역할은 코드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빌드와 배포를 수행하는 것으로 AWS에서는 여러 서비스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주요 목적은 1) 수동 배포 과정 제거 → 자동화로 배포 시간 단축, 코드 변경 시 2) 즉각적인 테스트 및 품질 검증, 3) 인프라 변경(IaC)까지 포함한.. 더보기 이전 1 2 3 4 ··· 15 다음